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글마당] 연인

취향에 따라 사람들은 여행한다. 쇼핑하기 위해 아니면 먹거리를 찾아서. 내 경우엔 새로운 세상 속 삶을 찾아서다. 또한 내가 읽은 책과 본 영화의 느낌을 확인하기 위해 여행을 한다고도 할 수 있다.     1992년에 개봉된 ‘연인(The lover)’ 영화를 보고 책도 읽었다. 나룻배 갑판 위 난간에 팔꿈치를 괴고 서 있던 가냘픈 프랑스 소녀의 중절모를 쓴 모습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영화를 본 이후 나도 어딜 가나 모자를 늘 쓰고 다니며 영화의 배경인 메콩 강에 가고 싶었다.     첫날 본 메콩 강은 메주콩 색에 흰색과 핑크색을 조금씩 섞은 색을 띠었다.     “유유히 체념한 듯 흐르는 강물 색이 신비하긴 하군.”   내가 지껄이자, 옆에 있던 친구가 “기가 막혀 철이 없어도 너무 없다니까. 저 깊은 물 속을 상상해 봤어? 사방팔방에서 흘러 들어간 똥물이 신비하다니! 저 물에서 잡은 생선을 먹을 수 있겠어? 신비는! 자기는 참 엉뚱해.”   시시각각 변하는 강물색 위로 그물을 치는 어부들의 모습은 무척이나 낭만적이다. 하지만 가까이 가서 현실에 직면하고는 눈을 돌렸다. 물에 잠길 듯 말 듯 떠 있는 덤불과 집들은 폭우가 지난 후에 흙탕물에 쓸려 떠내려가는 듯했다.   황톳빛 메콩 강의 얕은 수심 탓으로 크루즈를 강 한가운데 정박하고 작은 목선을 타고 동네 어귀의 허름한 선착장에 도착했다. 시끌벅적한 규모가 큰 반 노천 시장통 입구에서 비켜있는 웅장한 옛 저택으로 들어섰다. 흰 대리석 아치를 두른 저택은 프랑스와 중국 건축이 독특하게 혼합되어 있다. 입구에 조각한 울퉁불퉁한 나뭇잎 위에 금분을 바른 거창한 현판 ‘황금순’이라는 한자로 쓰인 문패가 눈에 띄었다. 안으로 들어서자, 한쪽 벽에는 저택 주인의 가족사진들이 걸려있다. 마주 보는 벽에는 영화 ‘연인’ 속 배우들의 빛바랜 사진이 걸려 있다.     15세 프랑스 소녀와 32살의 파리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부유한 중국계 남성과 불같은 사랑을 다룬 섬세하고 노골적인 베드신으로 흥행한 영화의 배경인 저택이다. 내부로 들어서니 널찍한 자게 상이 놓여 있다. 남자 주인공의 부친이 비스듬히 누워 아편을 피우던 자리다. 뿌연 아편 연기 속에서 아들이 프랑스 소녀와의 결혼을 극구 말리던 모습이 떠오른다. 아버지는 아들에 관해서는 그의 이름처럼 부드러운 비단인 ‘황금순’이 아니라 거친 마대와도 같은 성질로 “차라리 죽어버려라”라고 말한다. 아버지의 압력에 굴복하고 그들의 사랑은 비틀거리다가 소녀가 프랑스로 떠나면서 끝난다.     영화를 상상하며 흥미롭게 둘러보는데 마치 황 영감의 지시를 받고 내어놓은 듯 차를 가져왔다. 차를 마시자, 차의 향기와 고색창연한 실내 분위기에 빠져서 두 남녀가 몰래 정사를 나누던 시장통에 있던 짙은 회색 문의 아지트는 어디일까? 궁금했다.     훗날 소녀는 프랑스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가 되었다. 마그리트 뒤라스(Marguerite Duras)다. 영화는 그녀의  자전적 소설을 바탕으로 만들었다. 영화 마지막 장면에서 남자는 떨리는 목소리로 “지금도 사랑하고, 사랑하는 걸 멈추지 않을 것이며 죽을 때까지 사랑할 거라”고 전화하던 장면이 잊히지 않는다. 이수임 / 화가·맨해튼글마당 연인 프랑스 소녀 영화 마지막 훗날 소녀

2024-10-31

천년 가을의 끝, 노부부의 마지막 수확

1000여 년 전 사람들은 동물들과 함께 북극해와 맞닿은 아이슬란드 땅에 들어와 정착했다. 1000여 번의 가을이 오고 가는 동안 울파(Ulfa)와 오드니(Oddny) 부부의 선조들은 이곳에서 농경과 목축을 하며 이 땅을 지켜왔다. 그러나 이번 가을이 지나면 이들은 이곳을 떠날 계획이다. 자식들은 새로운 삶을 찾아 오래전 도시로 떠났고 부부도 이제 나이가 들어 더 이상 경작과 가축 돌보는 일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양떼를 몰고 산을 내려가는울파의 모습이 슬퍼 보인다. 외지고 황량하지만 그들에게 삶의 터전이 되어온 이곳을 떠나야 한다는 사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가업의 전통이 자기 대에서 끊어지게 되는 것이 그의 마음을 무겁게 한다. 정들었던 양들은 다른 사람에게 팔리어 가던가 도축이 될 것이라 생각하니 마음이 아파온다.     내년 가을에는 농작물을 키우는 일도, 양을 치는 일도 모두 그들의 삶에서 사라질 것이다. 북극해를 밝게 뒤덮은 저 밀려오는 햇살과 아름다운 풍경도 놓고 가야 한다. 평생 들어오던 자연의 소리들은 그들에게 잊히지 않을 음악이 될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부부의 마음속 ‘마지막 가을’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이스라팬버그(Yrsa Roca Fannberg) 감독이 아이슬란드 해안가 농경지 노부부의 일상을 기록한 다큐멘터리 ‘마지막 가을’은 2019년 발표된 이래 HotDocs을 포함한 전 세계의 권위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제에서 호평을 받아왔다.     물고기를 잡고 나무를 자르고 밭에 나가 농작물을 거두고 동물을 돌보고 모피를 뜨는 농경지의 일상을 끝내고 나면 부부는 저녁 식탁에 앉아 음식을 나누며 하루의 일과를 마무리한다. 단순한 육체노동으로 하루를 보내는 시골 농부의 평범한 삶이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그들에게 마지막이라는 사실이 의미심장하다. 몇 세대에 걸쳐 선조들이 개척한 땅을 떠나야 하는 노부부의 마지막 가을은 그래서 결코 평범하지 않다.     영화는 땅을 벗 삼아 살아온 노부부의 애가이며 후세대가 그들에게 바치는 헌시이다. 신비롭고 광활한 자연 공간에서 온전히 땅과 함께 살아온 울파와오드니 부부, 그들이 일궈온 고요한 위업이 이 가을을 끝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리려 한다.   김정 영화평론가영화 가을 영화 마지막

2023-06-3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